2021년 자살사망자, 지난해 대비 소폭 증가




 

2021년 자살사망자, 지난해 대비 소폭 증가

 

September 28, 2022

글로벌 코리언 포스트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우울감 증가 등이 원인으로 추정 

 

2021년 자살사망자 수가 지난해 대비 소폭 증가하였으며, 앞으로 청년·노인 등 정신건강 취약계층과 자살시도자 등 고위험군을 적극 발굴 및 지원하여 국민의 소중한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보건복지부는 밝혔다.

 

<자살 사망자 수 통계>

통계청이 발표(’22.9.27)한 2021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2021년 자살사망자는 1만 3,352명으로 2020년보다 157명 증가(1.2%)하였다.

또 자살사망률(인구 10만 명당 명, 이하 자살률)은 26.0명으로 지난해 대비 1.2% 증가(’20년 25.7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고의적 자해(자살) 등을 포함, 매년 9월경 전년도 통계 발표(통계청)

 

성별로 보면, 남성과 여성의 자살률이 모두 증가하였다.

* (남성) (’20년) 자살사망자 9,093명, 자살률 35.5명 → (’21년) 자살사망자9,193명, 자살률 35.9명
(여성) (’20년) 자살사망자 4,102명, 자살률 15.9명 → (’21년) 자살사망자 4,159명, 자살률 16.2명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대비 자살률은 10대(10.1%), 20대(8.5%) 및 70대(7.7%) 순으로 증가하였고, 60대(-5.7%), 40대(-3.4%), 80세 이상(-2.2%) 등에서 감소하였다.

– 자살률은 80세 이상(61.3명)이 가장 높았고, 뒤이어 70대(41.8명), 50대(30.1명), 60대(28.4명) 순으로 나타났다.

* (연령대별 자살률) 80세 이상(61.3명) – 70대(41.8) – 50대(30.1명) – 60대(28.4명) – 40대(28.2명) – 30대(27.3명) – 20대(23.5명) – 10대(7.1명)

 

자살은 사회 구조적, 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므로 자살률 증가의 원인을 어느 하나로 설명하긴 어려우나,  지난해 자살률 증가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우울감 및 자살생각률 증가, 청소년ㆍ청년층(10대, 20대) 자살률 증가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22.6. 보건복지부) >
▪우울위험군 : (’19) 3.2% → (’21.6.) 18.1% → (’22.6.) 16.9% (5배 증가)
▪자살생각률 : (’19) 4.6% → (’21.6.) 12.4% → (’22.6.) 12.7% (3배 증가)

< 우울증 진료환자 통계(’22.6. 심평원) >
▪’21년 우울증 진료환자는 933,481명으로 지난해(848,430명)대비 10.0% 상승, 연령대별로는 10대, 20대, 30대 순으로 증가율 높음

또한,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경제·사회적 영향이 본격화되는 향후 2~3년간 급격히 자살이 증가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코로나19에 따른 정신건강 악화와 자살률 증가위험에 대비하여 종교계 등 민간과 함께 하는 생명존중캠페인, 자살시도자·유족 등 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지원 강화 등을 통해 자살 예방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보건복지부는 지난 8월 자살예방법 개정 및 시행으로, 경찰·소방이 당사자 동의 이전에 자살예방센터로 자살시도자·유족 등 정보를 연계할 수 있도록 하여 자살 고위험군* 지원을 확대하고 강화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고 밝혔다.

*자살시도자의 자살위험은 일반인보다 20~30배 이상 높고(자살실태조사, 2018), 자살 유족의 우울장애 발병위험은 일반인 대비 18배 이상, 자살위험은 8~9배 높음.(전홍진,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