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생활에 종이책 비중 줄고 전자책 늘어




 

독서생활에 종이책 비중 줄고 전자책 늘어

 

Mar. 14, 2020

글로벌 코리언 포스트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만 19세 이상 성인 6천 명과 초등학생(4학년 이상) 및 중・고등학생 3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성인 종이책 독서율독서량 감소한 반면, 전자책 독서율독서량 소폭 증가 

2019년 조사 결과, 지난 1년간(2018. 10. 1.~2019. 9. 30.) 성인의 종이책 연간 독서율*은 52.1%, 독서량**은 6.1권으로 ’17년에 비해 각각 7.8%포인트, 2.2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초·중·고교 학생의 경우 종이책 연간 독서율은 90.7%, 독서량 32.4권으로, 2017년과 비교하면 독서율은 1.0%포인트 감소했으나 독서량은 3.8권 증가했다.

* 연간 독서율: 지난 1년간(’18. 10. 1.∼’19. 9. 30.) 일반도서(교과서, 학습참고서, 수험서, 잡지, 만화 제외)를 1권 이상 읽은 사람의 비율.

** 연간 독서량: 지난 1년간(’18. 10. 1.∼’19. 9. 30.) 읽은 일반도서 권수

 

전자책 독서율은 성인 16.5%, 학생은 37.2%로 ’17년보다 각각 2.4%포인트, 7.4%포인트 증가하는 등 모두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20~30대 중심으로 증가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도에 처음으로 조사한 오디오북 독서율은, 성인은 3.5%, 학생은 평균 18.7%(초등학생 30.9%, 중학생 11.6%, 고등학생 13.9%)인 것으로 조사됐다.

 

종이책전자책 합한 독서율, 대학생 및 30대 소폭 증가,

 고령층소도시에서 큰 폭 하락

지난 2년 사이 연령대별 독서율(종이책 + 전자책)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대학생은 2.7%포인트, 30대는 2.0%포인트 증가한 반면,  50대에서 8.7%포인트, 60대 이상에서 15.8%포인트 하락했다. 한편 지역 단위로는 대도시가 3.8%포인트 소폭 하락한 반면 소도시는 15.1%포인트 하락해 상대적으로 하락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독서하기 어려운 이유 ‘책 이외의 다른 콘텐츠 이용’(29.1%) 최다

이번 조사에서 국민들이 독서하기 어려운 이유로 제일 많이 꼽은 것은 성인의 경우 ‘책 이외의 다른 콘텐츠 이용’(29.1%)이었다. 이는 2017년까지 가장 많은 사람들이 꼽았던 ‘시간이 없어서’를 밀어낸 것으로서, 디지털 환경에서의 매체 이용 다변화가 독서율 하락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임을 보여준다. 참고로 학생의 주된 독서 장애 요인은 2017년도와 동일하게 ‘학교나 학원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왔다.

 






Previous article공적마스크 대리 구매할 때, 전자증명서 활용
Next article2019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