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신분증’, 재외국민도 이용 가능



 

‘모바일 신분증’, 재외국민도 이용 가능

 

July 04, 2024

Global Korean Post

 

-21개 재외공관에서 ‘모바일 재외국민 신원확인증’ 시범 발급

-행정안전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재외동포청 공동 주관으로 디지털플랫폼정부에 대한 재외국민 의견 청취

 

사례) 해외에 거주하는 ㄱ씨는 본인확인 용도만을 위해 불필요한 요금을 지불하며 한국 통신사에서 개통된 휴대폰을 유지할 필요가 없어졌다. 이전에는 온라인 본인확인을 위해 한국에서 개통한 휴대폰이 필요했지만, 이제는 현지에서 사용하는 휴대폰에 ‘모바일 재외국민 신원확인증’을 발급받아 간편하게 본인확인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7월 3일(수)부터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위원장 고진, 이하 : 디플정위), 재외동포청(청장 이기철)과 협업하여 해외 거주 국민을 대상으로 ‘모바일 재외국민 신원확인증’(이하 : 모바일 재외국민증) 서비스를 시작한다.

그동안 해외에 거주하는 국민은 한국의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때 한국 휴대전화가 없어 본인확인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심지어 본인확인을 위해 한국 휴대전화를 해지하지 않고 해외에서 매달 요금을 내고 사용하는 재외국민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하지만 앞으로는 ‘모바일 재외국민 신원확인증’이 시행됨에 따라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국민도 한국 휴대전화 없이 해외 휴대전화로 본인확인을 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이번 모바일 재외국민증을 통해 지리적인 문제로 인한 디지털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남녀노소 누구나 국내·외 어디에서나 디지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포용적 디지털 사회를 구현할 계획이다.

이번 ‘모바일 재외국민증’은 우선 일부 지역에서 시범 발급*을 시작하여 편의성 등을 보완한 후 모든 재외공관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 재외국민 등록 후 모바일 재외국민 신원확인증 신청 가능

구분 모바일 재외국민 신원확인증 발급 공관 개시 일정
1차

(7개소)

주로스앤젤러스(총), 주오클랜드(분), 주중국(대), 주베트남(대), 주인도네시아(대), 주필리핀(대), 주상파울루(총) 7.3.(수)
2차

(14개소)

주본(분), 주남아공(대), 주캐나다(대), 주벨기에(대), 주칠레(대), 주페루(대), 주이스탄불(총), 주네팔(대), 주키르기스스탄(대), 주밀라노(총), 주덴마크(대), 주브루나이(대), 주카메룬(대), 주마다가스카르(대) 8.1.(목)

※ (대)대사관, (총)총영사관, (분)대사관 분관

 

모바일 재외국민증은 시작과 동시에 ‘정부24’, ‘재외동포365민원포털’(구 영사민원24)에서 사용 가능하며, 연내에 재외국민이 자주 이용하는 ‘아포스티유*,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 아포스티유란 외국에서 발급한 공문서에 대한 인증 요구를 폐지하는 협약으로  한국을 비롯한 126개(‘24년 기준) 국가가 가입되어 있음

 

또한, 비대면 계좌개설 등 금융서비스와 재외공관 민원업무 등 오프라인 서비스에서도 활용 가능하도록 관계당국과 협의하여 법·제도를 정비해나갈 예정이다.

 






Previous article2024년 국민 정신건강 지식 및 태도 조사 발표
Next article6월 소비자물가 2.4% 상승